오스템임플 횡령 시점 달라졌다…2020년 '적정' 삼덕회계도 '책임론'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오스템임플 횡령 시점 달라졌다…2020년 '적정' 삼덕회계도 '책임론'

꿈먹기 11 228

오스템임플란트 직원 횡령·배임이 2020년에도 일어났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그 해 오스템임플란트 외부감사를 맡았던 삼덕회계법인 책임론이 대두된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덕회계법인은 2021년 3월 오스템임플란트 '재무제표 및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냈다. 2020년 1월1일~12월31일 기간 오스템임플란트 재무제표와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감사한 결과 '적정의견'을 표명한다는 내용이 보고서에 담겼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 10일 정정공시를 통해 횡령·배임 혐의발생 금액을 기존 1880억원(자기자본대비 91.81%)에서 2215억원(자기자본대비 108.18%)으로 정정했다.

이는 지난 3일 오스템임플란트 측이 공시했던 금액보다 335억원 증가한 금액이다. 이중 235억원 횡령시점은 2020년 4분기다. 경찰이 당초 파악하고 있던 최초 횡령시점인 지난해 3월보다 더 앞선 재작년 말에 첫 횡령이 이뤄졌다는 뜻이다. 오스템임플란트 측은 횡령 직원이 2020년 4분기 횡령한 금액을 모두 반환했다고 밝혔다.

삼덕회계법인이 발행한 보고서는 분기/반기별 '검토'보고서가 아닌 기말 '감사'보고서다. 검토보고서는 작성 절차가 인터뷰와 증감분석 등으로 이뤄져 비교적 간소하다. 반면 기말 감사보고서는 증빙서류 등을 직접 확인해야 하는 등 절차가 까다롭다. 기말 감사보고서 작성 '시즌'인 2~3월에 회계법인 일이 몰리는 이유다.

2020년 4분기에도 횡령이 일어났으면 삼덕회계법인이 '적정의견'을 낸 재무제표 상 '숫자'가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 숫자 문제가 없더라도 내부회계관리 측면에서 구멍이 생긴 게 확인됐기 때문에 삼덕회계법인이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다.

2021년 오스템임플란트 외부감사를 맡은 인덕회계법인은 아직 분기 검토보고서만 냈다. 기말 감사보고서는 아직 내지 않았기 때문에 '수습'할 여지가 있다.

금융감독원은 일단 검찰조사 결과가 나오고 횡령 혐의가 확정돼야 처벌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금감원이 처벌을 내릴 기준으로 삼을 횡령 시기와 금액이 확정돼지 않았기 때문에 처벌수위를 정하기는 시기상조라는 얘기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조사결과가 나오고 오스템임플란트가 이를 긍정하면 그 부분이 감리요건이 되는지 보고 처벌수위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인덕회계법인은 아직 연도 감사보고서를 내지 않았기 때문에 잘했다 잘못했다 얘기하는 논리가 맞지 않는다"며 "공시는 '미래의 일'이고, 확정돼야 (잘못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나온건 검토보고서 뿐"이라고 설명했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검토보고서와 감사보고서는 '확신의 정도에 대한 차이'가 크다"며 "삼덕회계법인은 2020년분에 대한 '적정의견'을 반영한 감사보고서를 냈기 때문에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른 법인 관계자는 "내부회계감사제도가 도입된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금융당국이 '일벌백계' 차원에서 강한 징계를 내릴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11 Comments
꿈먹기 2022.01.12 21:00  
아이고... 오스템 임플란트 주주님들 어떻게 ㅠ 저번에 보니 오스템 임플란트 주식이 2년 묶일수도 있다고 하던데 위 내용이 사실이라면 99.9% 대표와 회계법인의 합작품이니 도저히 답이 없네요 (...) 주주님들 마음 잘 달래시길 바랍니다...
shine7 2022.01.12 21:00  
주주가 회사와 동행하는 입장이니 이런 리스크도 같이 가져가는게 논리적으로는 맞지만 참 안타깝네요 저런 리스크는 고려요인이 아니였을텐데 말이죠 참... 어쨌든 덴티움도 그렇고 임플란트쪽 회사들 회계처리 문제 때문에 항상 말이 많았어서 관심은 안두고 있었습니다만 이런건 아예 차원이 다른 문제인거라 안타깝고 또 안타깝습니다.
꿈먹기 2022.01.12 21:00  
@5cfb3309551057.gif님 아 링크를 빼먹었군요 (...) 감사합니다!
widowm… 2022.01.12 21:00  
점입가경...
beyond 2022.01.12 21:00  
분기는 회사에서 작성하여 제출하고 반기는 감사인이 검토할 뿐 의견을 내지 않으며 기말기준 잔액만 본다면 분 반기중 입출금이 있었다는 사실을 몰랐을수 있습니다. 감사인이 은행연합회에서 조회한 잔고와 회사가 제시한 계좌잔고가 12/31일 시점 맞기만 하면 모든 입출금 내역을 보지않을꺼고, 3-4일 감사기간에 검토할 부분이 많아 전체 계좌내역을 조사한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사인이 문제가 있다? 이건 좀 무리가 있습니다. 내부회계관리를 하고있지만 아직 계도수준이라 이거도 형식적인 절차였을꺼고.. 속였다면 감사인이 누가가도 잡아내지 못했으리라 봅니다.
우리리리 2022.01.12 21:00  
@beyond님 저도 사실 그렇게 생각해요. 임플란트 회사가 큰 돈을 자유롭게 개인한테 넘길 수 있는 구조인건가? 이런 의문은 들긴하네요.
소프트코어 2022.01.12 21:00  
다른 뉴스보니 저때부터 한게 맞긴한데50억 빼고 다시 채워넣고 했다던데 .. 그럼 몰랐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기적 2022.01.12 21:00  
회계사무소는 마지막만 보게되어 있어서 채워넣어놓으면 모르는게 당연하죠 비어있는걸 인정줄리가 ? 설마 ? 근데 요즘 설마가 사실인 경우도 많아서
HeeYa 2022.01.12 21:00  
근데 잔고만 보나요? 입출금 내역까지 검토하는걸로알아서, 아는 자금 담당자는 그거 숫자 매번 맞추던데요.
랜슬럿 2022.01.12 21:00  
@HeeYa님 자금담당자는 매일 그걸 하지만 회계감사 나오신 분이 1주일 안에 그걸 전부 확인하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서요. ㅎㅎㅎㅎㅎ
HeeYa 2022.01.12 21:00  
@랜슬럿님 아 그렇긴 하겠군요.... 정작 연말감사보고서에 전산/보안항목 때문에 수년간 여름부터 자료요청을 당했어서 ㅎㅎ 길다고 착각을 했네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