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란트에 물린 분들께 희망적인 뉴스 하나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오스템임플란트에 물린 분들께 희망적인 뉴스 하나

수면제 24 252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01061212192640105951&lcode=00&page=1&svccode=00


저는 지금까지 모르고 있었는데, 오스템임플란트의 오너인 최규옥 회장이 작년부터 경영권을 매각하려고 여러차례 시도했다고 합니다. 그런 매각협상이 번번이 결렬된 이유는 매각대금이 현재 주가수준에 비해서 너무 높은 가격을 불렀기 때문이라는군요.


거래정지가 되기 전 시가총액이 2조원 수준이고, 오너의 보유지분이 20%인데, 1조원에 경영권을 팔겠다고 제시해서 번번이 협상이 결렬됬다는 겁니다. 통상적으로 경영권프리미엄을 50%정도 인정해주는 관행을 비쳐보면 매수하는 입장에선 6,000억원 정도를 불렀을텐데 1조원이면 무리한 가격이었던거죠.


그렇다면, 이제 오스템임플란트가 거래정지가 풀리고 주가가 절반정도로 폭락한다고 봤을 때 경영권 인수를 타진했던 자본 입장에서는 굳이 최규옥회장과 이런 협상을 할 이유가 없어집니다. 원래 제시했던 6,000억원을 주고 오너에게서 20%의 지분을 사느니, 주가가 반토막 나는것을 전제로 6,000억원이면 단순계산 60% 가까운 지분을 확보할 수 있는거니까요.


물론, 60% 지분을 일시에 확보하는건 불가능할테고, 적대적 인수합병선언을 하는 순간, 주가는 상승할테니 생각보다 확보할 수 있는 지분은 얼마 안되겠지만 어쨋던 오너와 1대1협상을 재개하더라도 훨씬 유리한 상황이 전개되는 거지요. 게다가 매수자 입장에서는 구태여 60%나 되는 지분을 확보할 필요가 없습니다. 훨씬 싼 가격에 적은 지분으로도 적대적 인수합병이 가능하다는 거지요. 


지금 오스템임플란트 경영권에 관심이 있는 쪽 입장에서는 가장 유리한 시나리오가 24일 상장적격성실질심사에서 바로 거래재개가 되지 않고 6개월정도 거래정지가 연장되는 동안 최규옥회장의 지분이 주담대 상환 이슈로 줄어드는 상황일겁니다. 이렇게 되면 굳이 오너쪽과 매각협상을 할 이유도 없어지는거죠.


물론, 이런 시나리오는 회사의 펀더멘털 자체에는 큰 문제가 안생겼다는 전제이지만, 어쨋던 언제가 되었든 오스템임플란트의 거래재개 이후 주가하락이 무턱대고 한없이 떨어질 일은 없다는걸 시사하는거라 봅니다. 저를 비롯해서 오스템임플란트에 물려있는 분들에게는 희망적인 소식이라 봐서 올려봅니다.

24 Comments
이젠정말 2022.01.16 14:00  
잘 몰라서 질문요.. 1.적대적인수합병으로 경영권을 가져오려면 몇%가 필요한가요? 21%?최씨보다만 많으면 되나요? 본문글 보면 60%인 걸로 되어있어서요. 2.만약 사모펀드 같은 곳에서 소유하게되면 그게 좋은 건가요 나쁜 건가요? 사모펀드라면 재투자등을 잘 못 할거 같아서요.
수면제 2022.01.16 14:00  
@이젠정말님 1. 네, 기본적으로 최규옥회장의 21%다 많으면 됩니다. 60%라는건 애초에 협상할 때의 매입자금 6,000억원으로 확보할 수 있는 최대치를 상정한 것일 뿐, 실제로는 의미가 없는 숫자입니다. 2. 경영권을 사모펀드들이 인수해서 나중에 웃돈을 얹어서 파는 사례들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남양유업 사례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이젠정말 2022.01.16 14:00  
수면제님// 설명 감사합니다. 회장분도 회사경영에 별 뜻이 없어보이니, 좋은 쪽으로 결론 났으면 좋겠습니다.
pyodor 2022.01.16 14:00  
@이젠정말님 경영권 확보지분은 상황마다 다릅니다. 그냥 50%초과하면 가장 쉽지만 상장기업 50%초과 확보하려면 이미 주가는 다른 세상으로 갈테니 현실적이지가 못하고요. 일정 부분 확보를 하게되면 우호적 지분을 늘리는 것에 집중을 합니다. 본인 지분과 우호적 지분의 합이 기존 경영권과 그들의 우호적 지분의 합을 넘어 선다 생각하면 임시주총을 열고 경영진들의 교체를 시도해서 성공하게 되면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보면 됩니다. 경영권 확보 시도는 기존 최대 주주의 지분보다 낮아도 성공하기도 하고 높아도 실패하기도 합니다.
lskfsl 2022.01.16 14:00  
오스템 자체는 좋은 기업이기에 경영권이 매각되고 대주주가 물러나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주가는 거래재개 직후에는 요동치면서 흔들릴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사상최고가를 갈아치우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허스티오마 2022.01.16 14:00  
분식회계 의혹 있지 않나요
수면제 2022.01.16 14:00  
@허스티오마님 현재 압수수색까지 진행한 수사결과로는 분식회계의혹이 나온건 없습니다. 분식회계의혹을 검색해보면 5년 전에 분식회계 적발이 되었다는 기사가 나오는데, 내용을 보면 분식회계를 적발했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반품충당부채 문제를 지적했다는겁니다. 해당 문제는 당시 오스템임플란트 뿐 아니라 덴티움과 다른 임플란트회사들에도 똑같이 지적되었던 사항입니다.
Jay-Z 2022.01.16 14:00  
최소한 상폐는 없을듯
뭬리제인 2022.01.16 14:00  
'6개월정도 거래정지가 연장되는 동안 최규옥회장의 지분이 주담대 상환 이슈로 줄어드는 상황' 그런데 거래 정지된 상태에서 주담대 강제상환이 되면 어떻게 되는걸까요? 반대매매도 발생 못하지 않나요?
수면제 2022.01.16 14:00  
@뭬리제인님 거래정지가 장기화되면 반대매매가 발생하는게 아니라 현금상환이나 보유중인 다른 회사 주식을 반대매매하게 됩니다. 그래도 상환이 안되면 소송 들어가겠죠.
티라노렉스 2022.01.16 14:00  
아무도 안 살 듯
수면제 2022.01.16 14:00  
@티라노렉스님 안사는게 문제가 아니라,,, ㅜㅜ 아, 경영권은 사려는 사람이 많을수밖에 없습니다. 흔치않은 바겐세일기간이라.
jio 2022.01.16 14:00  
역시 투자는 소리 없는 전쟁 입니다.
야하하하 2022.01.16 14:00  
한참 떨어진 후에 사려고는 하겠죠. 근데 그게 얼마나 떨어진 후일지는 모르겠네요.
수면제 2022.01.16 14:00  
@야하하하님 거래재개 후 일주일 정도는 지옥이 펼쳐지겠죠. 물론 그 전에 경영권 이슈가 발생하면 아닐테구요.
야하하하 2022.01.16 14:00  
@수면제님 사려는 입장에서보면 그냥두면 당연히 하락한 가격에 살 수 있을텐데 경영권이슈가 바로 발생할까요? 사려고 한다고해도 떨어진거 보고 사려고 하지 않을까요? 어떻게 움직일까 흥미롭긴 합니다
수면제 2022.01.16 14:00  
@야하하하님 사려는 사람이 한명일까요?
야하하하 2022.01.16 14:00  
@수면제님 문제가 터져 주가하락이 뻔한데 사려고 하는 사람이 여러명이라도 바로 산다고 할 이유가 전혀 안보이는데요? 하락이 불보듯뻔한데 굳이 먼저나설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위 글에도 주가폭락할때 매수자들이 오너와 협상할 필요가 없다고 적으신가처럼 당연하 매수자입장에서는 폭락 후 추이를 보려하지 않을까요?
수면제 2022.01.16 14:00  
@야하하하님 경쟁이 붙으면 당연히 먼저 사려고 하겠죠. 거래정지가 길어지면 더더욱 경쟁이 붙을겁니다. 문제가 터진게 현재로선 기업 자체의 문제가 아니고 오너십 교체시 쉽게 해결될 문제거든요.
구름빵 2022.01.16 14:00  
회사 팔려고 하는 것을 알고있는 cfo 입장에서 보면 기회라고 본 것인가요? 의혹이 줄 지가 않네요. 그런데 6천억이면 클랑에서 6000명 모아서 클량펀드 구성해서 인수해도 될 듯 싶은 수준이네요? 넘 저렴한데요?
수면제 2022.01.16 14:00  
@구름빵님 시총 2조인데 경영권이 6,000억원이면 싼 수준은 아니지 않을까요?
구름빵 2022.01.16 14:00  
가변이긴 합니다만 시총 기준으로 보면 싸지 않습니다. 제 의도는 수퍼 개미 클랑인들의 펀드로 구성해볼만한 금액이란 뜻이었네요. @수면제
미리네박 2022.01.16 14:00  
주식이던 뭐든 프리미엄이 붙어야 경쟁자도 늘어나고 주가도 우르르 하지만 거래종결이되면 언제나 제자리로 ㅋ 싸진다는건 굳이 경영자가 팔아야할 명분이 줄어들고 매수자과의괴리율도 엄청나기에 시간이 많이걸리지요 오스템이 경쟁력은 증명했기에 위기가 기회가 될수도 있지만 지금은 주가는뭐든 시간이 많이 필요한건 사실이지요
수면제 2022.01.16 14:00  
@미리네박님 시간이 필요한건 당연한 이야기죠. 그나마 시간소요에 더해 개털될 일은 없을거 같다는게 그나마 위안인 상황이지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