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광명·시흥에 7만가구 신도시 들어선다

정보/뉴스


인기게시물



[뉴스]광명·시흥에 7만가구 신도시 들어선다

기후변화 0 416

광명·시흥에 7만가구 신도시 들어선다
송진식 기자 [email protected]

국토교통부는 지난 ‘2·4 공급대책’에서 25만가구 공급을 목표로 지정을 예고한 새 공공택지의 1차 선정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수도권에서는 광명시흥, 지방에선 부산대저(243만㎡, 1만8000가구)와 광주산정(168만㎡, 1만3000가구)이 선정됐다. 국토부는 2분기 내 나머지 15만가구가 조성될 공공택지도 추가로 선정해 공개할 예정이다.

광명시흥은 서울 도심까지 20분대 접근이 가능하도록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체계를 마련해 서남부권 거점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서울과 인접한 지리적 장점과 지역별 안배를 고려해 공공택지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광명시흥은 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기존 3기 신도시에 편입돼 계획이 추진된다. 부산대저는 기존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해 창업지원·청년주택 등이 들어서는 자족도시로 조성된다. 광주산정은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연계해 주거지 공급 및 스마트 물류·청년창업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조성된다.

택지 지정과 동시에 광명시흥 등 세 곳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다. 지정 효력은 내달 2일부터 발효된다. 정부는 부동산시장 교란행위에 대한 단속 및 처벌도 강화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열린 부동산 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신고가 거래 후 취소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며 “시장교란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조치하고 제도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광명·시흥 일대 '7만가구 신도시'…문제는 주민 반발

[앵커]

몇십만 호씩 집을 짓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정부가 나서도 해결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오늘(24일) 정부가 경기도 광명과 시흥 일대에 7만 가구가 살 수 있는 신도시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내후년쯤부턴 사전 청약을 받겠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주민의 반대로 개발이 무산됐던 지역도 들어가 있어서 순탄치만은 않을 걸로 보입니다.

정아람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입니다.

이곳과 시흥시 일대에 7만 가구의 신도시를 짓겠다는 게 정부 계획인데요.

하지만 신도시 얘기가 나올 때마다 이곳 주민들은 반발했습니다.

2010년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다가 해제됐고 2015년에는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그런데 6년 만에 신규 공공택지 세 곳 가운데 하나로 포함된 겁니다.

주민들은 불만입니다.

[김종진/경기 광명시 옥길동 : 보금자리 지구로 지정된 5년 만에 취소된 적도 있고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토지 정책 때문에 혼란이 가중돼 주민들 피해가 아주 많습니다.]

[오선배/경기 광명시 광명동 : 원주민 같은 경우에는 거기에서 나오는 약간의 임대료 수익으로 살고 있는데 원주민들의 의사보다는 정부 차원에서 강제수용이잖아요. 너무나 부당한 거죠.]

광명시흥지구는 계획대로만 된다면 3기 신도시 가운데 가장 큰 규모에 가구수도 가장 많습니다.

서울 바로 옆인 데다가 여의도까지 20분, 강남까지 45분 거리여서 내집마련 수요자에게 인기가 있을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주민들이 반대하면 내후년 사전청약, 2025년 분양이라는 일정을 지킬 수 있을지 의문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A공인중개사/경기 광명시 광명동 : 보금자리 할 때도 똑같은 상태잖아요, 지금과. 반대가 심했어요, 그때도. 보상 문제 때문에 그렇기도 하고. 2025년도 분양 이야기하는데 쉽지 않다고 봐요.]

정부는 지난해 '8·4 공급 대책'에서도 서울 태릉골프장, 과천시 정부청사부지 등에서 3만여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주민 반대가 거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B공인중개사/서울 공릉동 : 지금 현재로는 녹지, 공원으로 조성돼 있는 건데 거기에 아파트가 빼곡히 들어가 있으면 공원을 누릴 수 있는 거에 불이익도 있을 것이고…]

(영상디자인 : 조승우)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