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세트, 농심은 초반 ‘기드온’의 활발한 갱킹으로 T1을 흔들었다. 탑 다이브 성공으로 선취점을 올렸으나, 바텀 갱킹은 ‘오너’의 역갱에 막혔다. ‘킹겐’의 제이스는 사이드 라인에서 강력한 주도권을 쥐었고, T1의 ‘스매쉬’의 제리는 안정적인 성장을 보였다.
경기 중반, 협곡의 전령을 기점으로 양 팀의 공방이 거세졌다. 농심은 아타칸 전투에서 T1의 핵심 딜러 제리를 먼저 잡아내는 데 성공했고, 이어진 빈틈을 노려 기습적인 바론 사냥까지 성공하며 승기를 잡는 듯했다. 그러나 농심은 바론 버스트 과정에서 T1의 저항에 부딪혔고, 오히려 팀원들이 차례로 쓰러지는 위기를 맞았다. 결국, 바론 버프를 획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어진 한타에서 T1에게 완패하며 넥서스를 내주는 충격적인 역전패를 당했다. 농심에게는 다 잡았던 승리를 마지막 집중력 부족으로 놓친 뼈아픈 순간이었다.
1세트의 아쉬운 패배에도 농심은 흔들리지 않았다. 2세트 초반, 탑 라이너 ‘킹겐’은 뛰어난 개인 기량을 바탕으로 솔로킬과 다이브를 연달아 성공시키며 T1의 탑 라인을 완전히 무너뜨렸다. 이를 바탕으로 농심은 오브젝트 싸움에서도 우위를 점하며 스노우볼을 빠르게 굴려나갔다. 아타칸 전투에서 승리하며 유리한 고지를 점한 농심은 이어진 바론 전투에서도 압승을 거두며 T1에게 반격의 여지를 주지 않았다. ‘킹겐’의 사일러스는 맹활약을 펼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고, 농심은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2세트를 가져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마지막 3세트, 농심은 ‘기드온’의 녹턴을 활용한 적극적인 바텀 라인 공략으로 선취점을 올리며 기분 좋게 출발했다. 하지만 T1 역시 침착하게 반격하며 팽팽한 균형을 유지했다. 농심은 녹턴 궁극기를 중심으로 계속해서 T1의 징크스를 노리는 전략을 펼쳤으나, T1 서포터 ‘케리아’의 탐 켄치의 완벽한 보호에 번번이 막히며 재미를 보지 못했다.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후반 캐리력이 뛰어난 T1의 챔피언 조합이 힘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결국, 아타칸 전투를 승리하며 주도권을 잡은 T1은 마지막 한타에서도 압도적인 화력을 뽐내며 농심을 제압, 힘겨운 승리를 확정 지었다.
T1은 이날 승리로 연패 위기에서 벗어났지만, 경기 내내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 개선해야 할 점을 남겼다. 반면 농심은 비록 패배했지만, T1을 상대로 끈질긴 저력을 보여주며 앞으로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당일 경기에서 밴픽, 플레이가 중요하지만 결국 승리 유무만 기억하는 거다
1세트에서 농심이 실수 안했으면 이겼다? 이런 논리면 패배하는 팀이 어디에 있겠니